그린-타오 정리
"오늘의AI위키"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.
"오늘의AI위키"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목차 보기/숨기기
2. 정리의 내용
그린-타오 정리는 소수 들이 임의로 긴 등차수열 을 포함한다는 것을 증명한 정리이다. 더 나아가, 소수 집합의 부분 집합 A 가 충분히 큰 밀도(\limsup_{N\rightarrow\infty} \frac
{\pi(N)}>0)를 가지면, 이 집합 A 역시 임의의 길이 k 에 대해 무한히 많은 등차수열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. 또한, 이 정리는 N 이하의 소수들로 이루어진 길이 k 인 등차수열의 개수에 대한 점근 공식을 제시한다. [2] 이 공식은 처음에는 일반화된 하디-리틀우드 추측을 가정하여 조건부로 증명되었으나, 이후 그린-타오 [3] 와 그린-타오-지글러 [4] 에 의해 무조건적으로 증명되었다.
2. 1. 기본 정리
\pi(N) 을 N 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 의 개수라고 하자. A 가 소수의 부분 집합이고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하자. : \limsup_{N\rightarrow\infty} \frac{\pi(N)}>0 이 경우, 모든 양의 정수 k 에 대해 집합 A 는 길이가 k 인 등차수열을 무한히 많이 포함한다. 특히, 소수 전체의 집합은 임의로 긴 등차수열을 포함한다. 그린과 타오는 일반화된 하디-리틀우드 추측에 대한 후속 연구에서, 등차수열을 이루는 소수 ''k''-튜플 p_1 < p_2 < \dotsb < p_k \leq N 의 개수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점근 공식을 조건부로 증명하고 제시했다. [2] : (\mathfrak{S}_k + o(1))\frac{N^2}{(\log N)^k} 여기서 \mathfrak{S}_k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상수이다. : \mathfrak{S}_k := \frac{1}{2(k-1)}\left(\prod_{p \leq k}\frac{1}p\left(\frac{p}{p - 1}\right)^{\!k-1}\right)\!\left(\prod_{p > k}\left(1 - \frac{k-1}p\right)\!\left(\frac{p}{p - 1}\right)^{\!k-1}\right)\!. 이 결과는 이후 그린-타오 [3] 와 그린-타오-지글러 [4] 에 의해 무조건적으로 증명되었다.
2. 2. 점근 공식 (조건부)
그린과 타오는 일반화된 하디-리틀우드 추측을 가정하여, 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들로 이루어진 길이 k인 등차 수열, 즉 p_1 < p_2 < \dotsb < p_k \leq N 을 만족하는 소수 튜플의 개수에 대한 다음 점근 공식을 조건부로 증명하고 제시했다. [2](\mathfrak{S}_k + o(1))\frac{N^2}{(\log N)^k} 여기서 o(1) 은 N이 무한대로 갈 때 0으로 수렴하는 항을 의미하며, \mathfrak{S}_k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상수이다.\mathfrak{S}_k := \frac{1}{2(k-1)}\left(\prod_{p \leq k}\frac{1}p\left(\frac{p}{p - 1}\right)^{\!k-1}\right)\!\left(\prod_{p > k}\left(1 - \frac{k-1}p\right)\!\left(\frac{p}{p - 1}\right)^{\!k-1}\right)\!. 이 결과는 처음에는 조건부로 제시되었으나, 이후 그린-타오 [3] 와 그린-타오-지글러 [4] 에 의해 무조건부로 증명되었다.
2. 3. 점근 공식 (무조건부)
그린과 타오는 일반화된 하디-리틀우드 추측에 대한 후속 연구에서, N 이하의 소수로 이루어진 길이 k 의 등차 수열, 즉 p_1 < p_2 < \dotsb < p_k \leq N 을 만족하는 소수 ''k''-튜플의 개수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점근 공식을 제시했다. [2] :(\mathfrak{S}_k + o(1))\frac{N^2}{(\log N)^k} 여기서 상수 \mathfrak{S}_k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 :\mathfrak{S}_k := \frac{1}{2(k-1)}\left(\prod_{p \leq k}\frac{1}p\left(\frac{p}{p - 1}\right)^{\!k-1}\right)\!\left(\prod_{p > k}\left(1 - \frac{k-1}p\right)\!\left(\frac{p}{p - 1}\right)^{\!k-1}\right)\!. 이 결과는 처음에는 조건부로 제시되었으나, 이후 그린-타오 [3] 와 그린-타오-지글러 [4] 의 연구를 통해 무조건부 로 증명되었다.
3. 증명의 개요
그린-타오 정리의 증명은 다음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. # 세메레디 정리: 양의 상부 밀도를 갖는 정수의 부분 집합은 임의로 긴 등차수열 을 포함한다는 정리이다. 하지만 소수 는 정수 전체에서 밀도가 0이기 때문에, 이 정리가 ''사전적으로'' 소수에 직접 적용되지는 않는다. # 전달 원리: 세메레디 정리를 적절한 의미에서 의사랜덤한 정수의 부분 집합으로 확장하는 원리이다. 이러한 결과는 현재 상대적 세메레디 정리라고 불린다. # 의사랜덤 부분집합 구성: 소수 를 조밀한 부분 집합으로 포함하는 정수의 의사랜덤 부분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이다. 이 집합을 구성하기 위해 그린과 타오는 소수 간격에 대한 골드스톤, 핀츠, 그리고 이을드름의 연구에서 아이디어를 사용했다. [5] 이렇게 구성된 집합의 의사랜덤성이 확립되면, 전달 원리를 적용하여 증명을 완료할 수 있다. 원 논문의 주장에 대한 수많은 단순화가 발견되었다. [1] 콘런(Conlon), 폭스(Fox), 자오(Zhao)는 2014년에 증명에 대한 현대적인 설명을 제공했다.
3. 1. 세메레디 정리
세메레디 정리는 그린-타오 정리 증명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. 이 정리는 양의 상부 밀도를 갖는 정수의 부분 집합은 임의로 긴 등차수열 을 포함한다고 설명한다. 하지만 소수는 전체 정수 집합 내에서 밀도가 0이기 때문에, 세메레디 정리가 ''사전적으로'' 소수 집합에 직접 적용되지는 않는다. 그린-타오 정리의 원 논문 주장에 대한 여러 단순화가 이후 발견되었다. [1] Conlon, Fox, Zhao는 2014년에 증명에 대한 현대적인 설명을 제공했다.
3. 2. 전달 원리
그린-타오 정리 증명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전달 원리이다. 이 원리는 세메레디 정리를 적절한 의미에서 의사랜덤한 정수의 부분 집합으로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. 이러한 결과는 현재 상대적 세메레디 정리라고 불린다. 그린-타오 정리 증명 과정에서는 먼저 소수 를 조밀한 부분 집합으로 포함하는 정수의 의사랜덤 부분 집합을 구성한다. [5] 이 집합의 의사랜덤성이 확립되면, 전달 원리를 적용하여 증명을 완료한다. 원 논문의 주장에 대한 수많은 단순화가 발견되었다. [1] Conlon, Fox, Zhao (2014)는 증명에 대한 현대적인 설명을 제공한다.
3. 3. 의사랜덤 부분집합 구성
그린-타오 정리 증명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소수를 조밀한 부분 집합으로 포함하는 정수의 의사랜덤 부분 집합을 구성하는 것이다. 이 집합을 만들기 위해 그린과 타오는 소수 간격에 대한 골드스톤, 핀츠, 그리고 이을드름의 연구에서 아이디어를 사용했다. [5] 이렇게 구성된 집합의 의사랜덤성이 확립되면, 세메레디 정리를 의사랜덤 집합으로 확장한 전달 원리(상대적 세메레디 정리)를 적용하여 증명을 완료할 수 있다. 원래 증명이 발표된 이후, 주장에 대한 여러 단순화된 설명들이 나왔다. [1] 콘런, 폭스, 자오는 2014년에 증명에 대한 현대적인 설명을 제공하기도 했다.
4. 수치적 연구
그린-타오 정리는 소수 가 임의로 긴 산술 수열을 포함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했지만, 이는 존재 증명의 성격을 가지므로 실제로 그러한 수열을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는다. [16] 따라서 소수로 이루어진 긴 산술 수열을 실제로 찾아내기 위한 별도의 계산적 연구가 진행되었다. 그린-타오 정리 발표 당시(2004년)에는 마르쿠스 프린드(Markus Frind), 폴 언더우드(Paul Underwood), 폴 조블링(Paul Jobling)이 발견한 길이 23의 수열이 가장 긴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. 이후 컴퓨터 성능 향상과 PrimeGrid와 같은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의 도움으로 더 긴 소수 산술 수열들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. 2007년에는 야로스와프 브로블레프스키(Jarosław Wróblewski)에 의해 길이 24의 수열이 발견되었고 [6] [16] , 2008년에는 브로블레프스키와 라아난 체르모니(Raanan Chermoni)가 길이 25의 수열을 발견했다. 2010년에는 브누아 페리숑(Benoît Perichon)이 길이 26의 수열을, 2019년에는 롭 가한(Rob Gahan)과 PrimeGrid가 길이 27의 수열을 발견하며 기록이 갱신되었다. 발견된 수열들은 종종 소수 계승 (primorial, 기호 '#')을 포함하는 형태로 표현된다.
4. 1. 발견 사례
그린-타오 정리는 소수 들이 임의로 긴 산술 수열을 포함한다는 존재 정리이지만, 실제로 이러한 수열을 찾는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는다. 따라서 가장 긴 소수 산술 수열을 찾기 위한 별도의 계산 노력이 이어졌다. 그린-타오 정리 논문 발표 당시 알려진 가장 긴 소수 산술 수열은 길이가 23개였으며, 2004년 마르쿠스 프린드(Markus Frind), 폴 언더우드(Paul Underwood), 폴 조블링(Paul Jobling)이 발견했다. : 56,211,383,760,397 + 44,546,738,095,860 · ''k'', (''k'' = 0, 1, ..., 22) 이후 더 긴 소수 산술 수열들이 발견되었다.길이 24: 2007년 1월 18일, 야로스와프 브로블레프스키(Jarosław Wróblewski)가 발견했다. [6] [16]: 468,395,662,504,823 + 205,619 · 223,092,870 · ''n'', (''n'' = 0, 1, ..., 23) : 여기서 상수 223,092,870은 23 이하의 모든 소수의 곱으로, 소수 계승 (23#)이라고 한다. 길이 25: 2008년 5월 17일, 브로블레프스키와 라아난 체르모니(Raanan Chermoni)가 발견했다.: 6,171,054,912,832,631 + 366,384 · 23# · ''n'', (''n'' = 0, 1, ..., 24) 길이 26: 2010년 4월 12일, 브누아 페리숑(Benoît Perichon)이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인 PrimeGrid에서 브로블레프스키와 제프 레이놀즈(Geoff Reynolds)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발견했다.: 43,142,746,595,714,191 + 23,681,770 · 23# · ''n'', (''n'' = 0, 1, ..., 25) 길이 27: 2019년 9월, 롭 가한(Rob Gahan)과 PrimeGrid가 발견했다.: 224,584,605,939,537,911 + 81,292,139 · 23# · ''n'', (''n'' = 0, 1, ..., 26)
5. 확장 및 일반화
세메레디 정리의 확장 중 다수는 소수에도 적용된다. 그린-타오 정리는 발표 이후 여러 방향으로 확장되고 일반화되었다. 주요 확장으로는 다차원 공간으로의 일반화가 있으며, [7] [8] [9] 이는 이후 폭스와 자오에 의해 증명이 단순화되기도 했다. [10] 또한 2006년, 타오와 지글러는 이 정리를 다항식 수열의 경우까지 확장하여 [11] [12] ,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다항식 값들이 동시에 소수가 되는 경우가 무한히 많음을 보였다. 이는 기존의 등차수열 결과를 특수한 경우로 포함한다. 더 나아가 타오는 가우스 소수에 대해서도 그린-타오 정리와 유사한 결과가 성립함을 증명했다. [13]
5. 1. 다차원 일반화
세메레디 정리의 확장 중 상당수는 소수 집합에도 적용될 수 있다. 독립적으로, 타오와 지글러 [7] , 그리고 쿡, 머자르, 티치체트라쿤 [8] [9] 은 그린-타오 정리를 다차원으로 일반화하는 결과를 얻었다. 타오와 지글러가 제시한 증명은 이후 폭스와 자오에 의해 더 간결하게 다듬어졌다. [10] 2006년에는 타오와 지글러가 그린-타오 정리를 다항식 수열의 형태로 확장했다. [11] [12] 더 자세히 설명하면, 상수항이 모두 0인 임의의 정수 계수 다항식 P_1(m), \ldots, P_k(m) 에 대해, x + P_{1} (m), \ldots, x + P_{k} (m) 이 모두 동시에 소수가 되는 정수쌍 x, m 이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는 것이다. 만약 여기서 다항식을 m, 2m, \ldots, km 으로 특별히 선택하면, 이는 길이 k 인 소수의 등차수열이 무한히 존재한다는 원래의 그린-타오 정리를 포함하는 결과가 된다. 타오는 또한 가우스 소수에 대해서도 그린-타오 정리와 유사한 결과가 성립함을 증명했다. [13]
5. 2. 다항식 수열
2006년, 타오와 지글러는 그린-타오 정리를 다항식 수열까지 확장했다. [11] [12] 구체적으로, 미지수 m 에 대한 임의의 정수 계수 다항식 P_1, \ldots, P_k 가 주어졌을 때 (단, 모든 다항식의 상수항은 0이어야 한다), x + P_{1} (m), \ldots, x + P_{k} (m) 형태의 항들이 모두 동시에 소수 가 되는 정수 x 와 m 쌍이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다. 이 정리는 다항식이 특별히 m, 2m, \ldots, km 인 경우를 포함한다. 이 경우, 수열은 x + m, x + 2m, \ldots, x + km 형태가 되는데, 이는 길이가 k 인 소수의 등차수열 이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는 기존의 그린-타오 정리 내용과 일치한다.
5. 3. 가우스 소수
타오는 가우스 소수에 대한 그린-타오 정리의 유추를 증명했다. [13]
참조
[1]
논문
The primes contain arbitrarily long arithmetic progressions
[2]
논문
Linear equations in primes
[3]
논문
The Möbius function is strongly orthogonal to nilsequences
[4]
논문
An inverse theorem for the Gowers U^{s+1}[N] -norm
[5]
논문
Primes in tuples. I
[6]
웹사이트
Primes in Arithmetic Progression Records
http://primerecords.[...]
2015-06-27
[7]
논문
A multi-dimensional Szemerédi theorem for the primes via a correspondence principle
[8]
논문
Constellations in \mathbb P^d
[9]
논문
A Multidimensional Szemerédi Theorem in the primes via Combinatorics
[10]
논문
A short proof of the multidimensional Szemerédi theorem in the primes
[11]
논문
The primes contain arbitrarily long polynomial progressions
[12]
논문
Erratum to "The primes contain arbitrarily long polynomial progressions"
[13]
논문
The Gaussian primes contain arbitrarily shaped constellations
[14]
논문
The primes contain arbitrarily long arithmetic progressions
[15]
논문
The primes contain arbitrarily long polynomial progressions
[16]
간행물
Primes in Arithmetic Progression Records
http://primerecords.[...]
2014-06-13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